생성과 소멸

오늘 언유주얼 서스펙트 페스티벌에서 씨닷과 청년허브가 준비한 ‘생성과 소멸’ 세션에 가서 ‘그만 두려다가 다시 시작한 BIYN의 이야기’를 나누고 돌아왔다. 우리의 경험이 누군가에게 의미있는 이야기가 되었다는 게 늘 신기하다. (그리고 이 이야기는 지금 “기본소득 말하기 다시 기본소득 말하기”라는 책으로 나와 알라딘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.)

목적지향적인 제3섹터의 조직이 맞이하는 마지막은 한계점인 동시에 최선의 성취가 있는 지점이기도 하고, 또 자원이 부족한 환경 속에서 쌓아 온 인프라는 자산인 동시에 부채이기도 하다는, 이 미묘한 딜레마에 대한 공감대를 느낄 수 있는 자리라 각별했는데, 멋진 제목 덕분인 것 같기도 하다. ‘지속가능성’이라든지 ‘생존’ 같은 단어가 아니라 ‘생성과 소멸’이라는 추상적 개념과 ‘선라이즈 앤 선셋’이라는 심상 아래에서 재무적 자원과 조직구조, 법 체계에 대한 이야기와 신뢰와 감정, 시시콜콜한 의례에 대한 이야기를 편안히 넘나들 수 있었다. 내게는 항상 이것들이 연동되어있는 영역들로 이해되는데, 이 시야로 이야기 할 수 있는 공간이 흔치 않았어서 모처럼 나의 현실에 대해 온전하게 이야기할 수 있었다. (온전하게 듣고 나눠 준 다른 패널, 진행자 분들과 청중 분들께 감사를.)

그리고 그런 분위기에 힘입어 BIYN은 서로 다른 생성과 소멸의 시간들이 역동적으로 교차되는 장소이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. 지나치게 개념적이어서 사적인(또는 시적인) 것이 되어버리는 이 비전을, 나는 나의 동료들에게 공유한다기보다는 전염시키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. 스스로의 행위자성을 부정하려고 하는 말은 아니고(이러니 저러니 해도 나는 BIYN에서 신뢰받고 있는, 조직 내에서 영향력이 있는 사람이다) 그렇기 때문에 더욱 적극적으로 우리에게 적합한 의례를, 말 걸기의 방식을 발명하고 싶다는 뜻입니다. 설득보다 강력한 전염. 욕망의 언어와 구분이 안가는 운동의 언어. (뭐 제가 이런 생각을 골방 철학자처럼 하고 있으면 어딘가에 이미 그렇게 살고 있는 사람들이 짠 하고 나타나기는 하는데요ㅋㅋ)

나는 세상 모든 일에는 원인과 결과가 있고, 또 한편으로는 어떤 인과관계도 선형적이지 않다고 생각한다. 이런 맥락에서 내게 서사는 신비롭고 예술적인 것이라기보다 일종의 시스템적 사고다. 이야기는 우연과 운명으로 구성되고 어디로 흘러갈 지 모르기 때문에, 그러나 지금으로부터 비롯하기 때문에, 최선을 다해 전략적 사고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. 음… 내가 ‘활동’을 계속하는 개인적인 이유는 그것이 곧 세계에 대해 사유하는 엔진을 계속 돌려주는 일이어서인 것 같다.